Surprise Me!

[기업기상도] 제철 만나 맑은 기업 VS 역풍 맞아 흐린 기업

2024-04-14 3 Dailymotion

[기업기상도] 제철 만나 맑은 기업 VS 역풍 맞아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제가 어렵다지만 총선 직전 국민들 경제 심리가 32개월 만에 가장 긍정적이란 한국은행 분석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경제가 내리막길에서 벗어날 마음의 준비가 됐다는 의미일텐데요.<br /><br />총선 주간 있었던 다양한 기업소식들,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세계 금융의 키를 쥔 미국에서 금리 인하 기대가 옅어졌습니다.<br /><br />물가가 안 잡혀서인데요.<br /><br />그쪽은 경기가 좋아 그런데, 경기가 안좋은 한국은 왜 이리 물가가 뛰는지 걱정스러웠던 한 주,맑고 흐린 기업을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첫 맑은 기업은 삼성전자입니다.<br /><br />반도체 흑자 전환에 이어 미국 정부의 현지 공장에 대한 거액 보조금 발표가 임박했습니다.<br /><br />이 회사의 1분기 영업이익이 1년 전의 10배가 넘는 6조6천억원, 특히 네 분기째 적자던 반도체가 흑자를 낸 것으로 분석되며 '11만 전자' 전망까지 나왔죠.<br /><br />미국서는 짓고 있는 170억 달러짜리 공장에 미국 정부가 최대 70억 달러의 보조금을 줄 것이란 현지 관측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66억 달러인 대만 TSMC에 비해 적지 않은 액수인데 현지 투자도 더 늘릴 것 같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첨단 일자리 수출이란 점, 보조금 대가로 각종 부담을 지는 점은 삼성이 계산에 넣어야 할 부분입니다.<br /><br />다음은 하이브입니다. 방탄소년단을 앞세워 마침내 재벌그룹 반열에 오를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공식 기준은 없지만 자산 5조원을 넘어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지정되면 '재벌'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죠.<br /><br />그런데 작년 하이브 자산이 10%가량 늘어 5조3천457억원, 여기에 부합합니다.<br /><br />SM,YG,JYP 기존 3강도 못 이룬 건데요.<br /><br />지정되면 방시혁 의장은 동일인, 즉 총수로 지정되고요.<br /><br />각종 공시와 총수일가의 사익편취 금지 의무도 집니다.<br /><br />제조,유통기업 일색이던 재벌 명단에 21세기 들어 금융사, 다음은 IT·게임사가 나타나더니 이젠 음악 기업이 등장하게 됐네요.<br /><br />산업구조 변화의 단면이라 할 수 있겠죠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한샘과 한샘넥서스, 현대리바트, 에넥스 등 대표 가구,인테리어 기업들입니다.<br /><br />아파트의 붙박이 가구 담합으로 거액의 과징금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습니다.<br /><br />31곳인데요.<br /><br />아파트,오피스텔에 첫 입주하면 돼있는 싱크대,부엌장 등을 건설사에 납품하며 주사위나 제비뽑기로 이번에 낙찰받을 곳을 정해 값을 올렸으니 야바위가 따로 없습니다.<br /><br />담합한 규모가 10년간 2조원에 이릅니다.<br /><br />공정거래위원회는 이들 업체에 93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.<br /><br />가구당 25만원쯤 더 냈다는 추산이던데, 과징금을 내도 담합이 남는 장사 같죠? 그래서 담합이 안 없어집니다.<br /><br />이번엔 비판과 우려로 바람 잘 날 없는 알리익스프레스,테무, 쉬인 등 중국 쇼핑앱 알테쉬입니다. 결국 올 것이 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산 생활용품의 위해성, 세계 각지서 제기돼왔는데 값까지 너무 싸 의심을 사왔죠.<br /><br />서울시가 알리 판매 상위에 오른 어린이 제품을 조사해보니 기준치의 56배 발암물질이 나온 가방에 내구성 기준을 미달하는 제품이 속출했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중국산 직구제품을 검사하고 전담 신고센터를 운영하기로 했고요.<br /><br />공정거래위원회는 테무의 허위과장광고와 전자상거래법 위반 여부를 점검합니다.<br /><br />당국도 입장이 있겠지만 더 빨리 움직여야 했지 않나 싶습니다.<br /><br />안전·허위광고 외에 과도한 염가나 사행성 마케팅 점검도 시급합니다.<br /><br />다음은 대표적 패스트푸드 햄버거 버거킹입니다.<br /><br />야심찬 마케팅에 나섰다가 눈총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이 회사 대표메뉴를 40년 만에 중단한다는 글이 SNS에 돌았습니다.<br /><br />출처는 회사가 맞지만 소비자들이 매장에 물어보니 계속 판다는데 회사는 말이 없어 혹시 노이즈마케팅이 아니냐는 의심까지 나왔죠.<br /><br />알고보니 제품을 리뉴얼한다는 것이었습니다.<br /><br />도 넘은 낚시 마케팅이란 비판이 비등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코로나 국면에서 버거킹이 제품값을 3번이나 올린 것을 기억하는 소비자들한테는 또다른 인상이 아니냔 의심을 받는데요.<br /><br />가격과 실적을 보면 알 수 있겠죠?<br /><br />마지막은 중앙청과·서울청과·동화청과·한국청과·대아청과 등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도매법인들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도매법인 독과점 체제가 농산물값 폭등 원인이라고 보고 경쟁 체제 강화에 나섭니다.<br /><br />지금 생산자 조직은 이들 도매법인과만 거래할 수 있고 이들 법인은 물량을 중도매인간에 경매를 붙여 유통합니다.<br /><br />농민을 대상으로 한 가격 후려치기를 막으려 만든 구조지만 경매대가로 4~7% 수수료를 받다보니 도소매업 평균 이익률이 2%대인데 작황과 무관하게 20%대나 됩니다.<br /><br />지정 유효기간이 있지만 재지정 기준이 없어 담합으로 거액 과징금까지 받고도 기존업체들이 계속 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도매법인 재지정 절차의 법제화와 신규업체의 진입문 넓히기를 고려 중인데요.<br /><br />어떤 결과가 나올지 지켜보겠습니다.<br /><br />총선이 끝났습니다.<br /><br />나랏빚은 1천127조원, 국내총생산의 50% 넘었습니다.<br /><br />물가를 잡고 경제를 살리는 데 매진해야 할 때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PD 김효섭<br />AD 최한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